오늘은 2023년 기준으로 1주택자가 전세 자금 대출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많은 분들이 이미 집을 소유했다면 다른 지역에 전세를 살 수 없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. 1주택 소유했다고 해서 반드시 내집마련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니까요.
1주택 소유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?
우선 1주택 소유했다면 다음과 같은 조건들을 확인해야 합니다
.
- 보유 주택의 시가가 얼마인지
- 보유 주택이 비규제 지역인지 조정대상 지역인지
- 보증기관이 어디인지
- 이전등기가 완료되었는지
- 부부 중 한 명만 주택소유권이 있는 경우 배우자 명의로 대출 가능한지
1주택 자전세 자급 대출 가능한 경우와 불가능한 경우
위의 조건들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전세 자급 대 출이 가능합니다.
- 비규제 지역이나 조정대상 지역의 시가 9억 원 이하의 주 택을 1 주 택만 보 유하고 있 을 때
- 부부 중 한 명만 주 택소 유권 이 있 고, 배 우자 명 의로 전 세 자 금 대 출 을 받 을 때
- 이전등기 완료된 영수증 등을 첨부하여 신청할 때
1주택 자전세 자급 대출 한도와 금리는 얼마일까?
전세 자금 대출의 한도와 금리는 보증기관 에 따 라 다르며, 최대 3억 원입니다. 일반적으로 NH농협과 신협에서 가장 낮은 금리를 제공하며, KB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, 기업은행 등에서도 비슷한 수준의 금리를 적용합니다.
단, 실질적인 금리는 개인의 신용등급과 담보 가치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.
결론:
오늘은 2023년 기준으로 1주택자도 전세자금대출 받을 수 있는 경우와 조건, 한도, 금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출처 : 1주택자 전세자금대출 금리 한도 은행 전세대출 조건
추천 청년도약계좌